(16) 부르고뉴 와인의 탄생
"와인은 신의 선물"… 수도사, 포도밭 마다 등급 매기고 '테루아' 밝혀내
| ||
보르도가 양적인 면에서 절대 우위를 보이지만,부르고뉴 와인은 우아하고 섬세한 향에 생산량도 적어 전체적으로 가격이 매우 비싸다. 실제로 유럽왕실과 부호들로부터 수요가 넘치는 유명한 도멘 '로마네 콩티'의 한 해 와인 생산량은 6000병 정도로,보르도의 '샤토 라피트 로쉴드' 생산량의 1%밖에 안 된다. 따라서 가격도 엄청나지만 수입상이나 소매상들은 원하는 만큼 살 수도 없다. 도매인이 생산하는 다른 와인 11병과 '로마네 콩티' 한 병을 합쳐 한 다스(12병) 단위로 살 수 있을 뿐이다.
부르고뉴 와인은 기후와 토양의 특징이 가장 잘 반영된 자연을 닮은 와인으로 유명하다. 이곳에서는 조그만 길 하나 건넌 두 포도밭에서 서로 다른 테루아의 특성을 보여도 전혀 이상하지 않다. 특히 재배가 어렵고 좋은 와인을 만들기도 쉽지 않은 피노누아 한 품종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생산된 와인은 빈티지에 따라 최상급부터 매우 실망스러운 수준까지 편차가 심하다. 이런 점은 장인들의 후각과 미각에 의해 카베르네 소비뇽,메를로를 중심으로 여러 품종을 블렌딩해 비교적 일관된 수준을 유지하는 보르도 와인과의 가장 큰 차이점이다. 따라서 보르도의 와인 등급 체계는 1855년 당시 가격을 기준으로 좋은 와인을 만들어 비싼 값에 파는 샤토와 생산자들에게 높은 등급을 부여했다. 이에 비해 부르고뉴에서는 포도밭별로 등급이 결정되므로 밭의 소유자나 생산자에 따라 와인의 등급은 변하지 않는다.
중세에는 귀족들의 증여와 십자군전쟁에 참가한 기사들의 헌납으로 부르고뉴의 많은 포도밭들이 수도원의 소유가 됐다. 11세기 베네딕틴수도원에서 분파한 '시토'(Cistercian) 수도사들은 수도원의 모든 일에 완벽을 기했으며 '하느님이 만드신 창조물'을 돌보는 데 몸과 마음을 다했다. 이들은 대지를 '신의 목소리'로 이해하며 그 위에서 자란 포도와 와인은 신의 뜻이 통하는 매체로 이해했다. 따라서 작은 포도밭 하나까지 토양을 분석하고 기후가 포도와 와인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해 '크뤼'의 개념을 정립했다. 또 특정 포도밭에서 수확한 포도로 빚은 와인의 특징은 해가 바뀌어도 변하지 않는다는 '테루아'의 진실도 밝혀냈다.
|
||
그러나 18세기 후반 귀족과 교회의 권력에 대항하는 프랑스 대혁명으로 부르고뉴 수도원 소유의 모든 포도밭은 혁명정부에 몰수됐다. 가난한 농민들은 큰 포도원을 살 수 없었으며,인근 도시의 투자가나 사업가들에게 여러 조각으로 나뉘어 팔려 나갔다. 특히 나폴레옹의 '균등상속법'으로 포도밭이 세대를 거듭하며 자식들 간에 분할 상속되어 부르고뉴 지방의 토지 소유관계는 매우 복잡해졌다. 보르도 샤토가 대규모 포도밭에 둘러싸인 아름다운 건물이 있는 호화로운 단지 개념인 것과 달리,부르고뉴에서 많이 사용하는 용어인 도멘은 여러 지역에 산재한 아주 작은 포도밭들을 소유한 개인이나 법인 소유의 검소한 와이너리를 뜻한다.
부르고뉴 지방에서 가장 면적이 넓은 특급 포도밭인 '코르통'은 소유주가 200명이 넘으며,본 로마네 마을의 포도밭 '에쎄조'도 면적은 34만m²정도로 작지만 생산자만 84명이 넘는다. 따라서 같은 포도밭을 소유하더라도 생산자에 따라 와인의 수준은 크게 달라진다.
/와인 칼럼니스트 · 여유공간 대표 sowhatchoi@gmail.com
▶ [Design] 은행의 재탄생…딱딱했던 입출금 공간, 아늑한 쉼터로
▶ [쇼핑] 50인치 TV 살 돈이면 '안방극장' 꾸며볼까
▶ 고개 숙인 중년男 걱정 한방에…'테스토스테론'의 힘!
'◀취미와 여행▶ > 와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와인나라,30일까지 창고털이 와인 할인행사 (0) | 2009.08.27 |
---|---|
"와인, 집보다 전문점에 보관하세요" (0) | 2009.06.27 |
최승우의 와인 있는 서재] -스위트와인의 허와 실 (0) | 2009.06.15 |
[최승우의 와인 있는 서재] 스페인의 자존심을 약탈한 영국 '세리' (0) | 2009.06.08 |
태양 머금은 `神의 축복`… 론강따라 와인이 흐른다 (0) | 2009.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