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부 건축가 임형남·노은주의 키워드로 읽는 건축과 사회] 〈43〉 명동 [부부 건축가 임형남·노은주의 키워드로 읽는 건축과 사회] 〈43〉 명동<세계일보> 입력 2011.10.12 (수) 05:00 시대의 애환·낭만의 흔적 켜켜이… 명동은 예술의 바다였다 20111011004209 늘 사람들이 부글부글 끓어오르는 명동 거리.층위, 여러 겹 쌓인 시간과 문화의 켜 층위(層位)라는 말은 지리학에서.. ◀인문,경제▶/현대건축 2011.10.12
[부부건축가 임형남·노은주의 키워드로 읽는 건축과사회] <16>지식의 미궁 [부부건축가 임형남·노은주의 키워드로 읽는 건축과사회] <16>지식의 미궁<세계일보> 입력 2010.08.31 (화) 22:09, 수정 2010.09.16 (목) 16:30 관련이슈 : 세계일보 창간 21주년 특집 미로 같은 香壇…조선 성리학 대가 ‘철학’을 가두다 20100831004146 [부부건축가 임형남·노은주의 키워드로 읽는 건축과.. ◀인문,경제▶/현대건축 2011.08.12
[부부 건축가 임형남·노은주의 키워드로 읽는 건축과 사회] <37> 권태 [부부 건축가 임형남·노은주의 키워드로 읽는 건축과 사회] <37> 권태<세계일보> 입력 2011.08.09 (화) 21:22, 수정 2011.08.10 (수) 01:10 권태는 싫증이 아닌 각성… 자아에 대한 성찰의 시작점 20110809004140 권태, 자신을 향해 눈뜨는 순간 어떤 일이나 상태에 시들해져서 생기는 게으름이나 싫증을 ‘권.. ◀인문,경제▶/현대건축 2011.08.12
[부부 건축가 임형남·노은주의 키워드로 읽는 건축과 사회] 〈37〉 영향의 불안 [부부 건축가 임형남·노은주의 키워드로 읽는 건축과 사회] 〈37〉 영향의 불안<세계일보> 입력 2011.07.26 (화) 17:49 --> 글자 글자 --> “예술가들은 스승을 부정함으로써 자기 존재 확인” 20110726003885 영향에 대한 불안 “내가 니 앱이다.” 사람들과 스마트폰을 꺼내들고 서로 자신만이 가지고 있는 .. ◀인문,경제▶/현대건축 2011.08.12
[부부 건축가 임형남·노은주의 키워드로 읽는 건축과 사회] <36> 스타일 [부부 건축가 임형남·노은주의 키워드로 읽는 건축과 사회] <36> 스타일<세계일보> 입력 2011.07.12 (화) 21:36, 수정 2011.07.13 (수) 00:27 --> 글자 글자 --> 비틀스처럼 고정관념과 맞설 때 새 스타일 만들어져 20110712003820 비틀스, 스타일을 창조하다 비틀스(The Beatles)! 그 이름은 하나의 ‘스타일’을 상.. ◀인문,경제▶/현대건축 2011.08.12
[부부 건축가 임형남·노은주의 키워드로 읽는 건축과 사회] <35> 트위터 [부부 건축가 임형남·노은주의 키워드로 읽는 건축과 사회] <35> 트위터<세계일보> 입력 2011.06.14 (화) 17:15, 수정 2011.06.15 (수) 10:25 --> 글자 글자 --> 유목민처럼 떠도는 140자 ‘지저귐’의 힘에 감탄 20110614003694 주관이 개입되지 않은 채 무한 복제되는 아파트군.&cid=" frameBorder=0 marginWidth=0 scrolling.. ◀인문,경제▶/현대건축 2011.08.12
[부부건축가 임형남·노은주의 키워드로 읽는 건축과 사회] <34> 오마주 [부부건축가 임형남·노은주의 키워드로 읽는 건축과 사회] <34> 오마주<세계일보> 입력 2011.05.31 (화) 17:19, 수정 2011.06.01 (수) 01:45 글자 --> 모방은 창작의 과정… 하늘 아래 새로운 것은 없다 20110531004307 세르게이 예이젠시테인 감독의 대표작 ‘전함 포템킨’(1925)의 ‘계단 시퀀스’. 브라이언 .. ◀인문,경제▶/현대건축 2011.08.12
[부부건축가 임형남·노은주의 키워드로 읽는 건축과 사회] <33> 아포리즘 [부부건축가 임형남·노은주의 키워드로 읽는 건축과 사회] <33> 아포리즘<세계일보> 입력 2011.05.17 (화) 21:23, 수정 2011.05.17 (화) 21:54 관련이슈 :세계일보 창간 21주년 특집 --> 글자 글자 --> ‘적을수록 많다’ 장식 적을수록 의미는 풍부해지고 형식 절제할수록 본질에 가까워진다 20110517004358 새.. ◀인문,경제▶/현대건축 2011.08.12
[부부건축가 임형남·노은주의 키워드로 읽는 건축과 사회] <32> 산조 [부부건축가 임형남·노은주의 키워드로 읽는 건축과 사회] <32> 산조<세계일보> 입력 2011.05.03 (화) 21:03, 수정 2011.05.09 (월) 23:30 관련이슈 :세계일보 창간 21주년 특집 --> 글자 글자 --> 가람 배치는 땅의 장단에 맞춘 구성이며 땅을 이용한 說法 20110503004500 소리의 길 산조(散調)란 흐트러진 가락.. ◀인문,경제▶/현대건축 2011.08.12
[부부건축가 임형남·노은주의 키워드로 읽는 건축과 사회] <31> 이상의 집 [부부건축가 임형남·노은주의 키워드로 읽는 건축과 사회] <31> 이상의 집<세계일보> 입력 2011.04.19 (화) 21:09 관련이슈 :세계일보 창간 21주년 특집 --> 글자 글자 --> 햇빛 한줌 없는 퀴퀴한 골방… “이런 방을 위해 태어난 것 같다” 20110419004322 이상은 수수께끼다 4월 17일은 시인 이상의 기일이.. ◀인문,경제▶/현대건축 2011.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