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및 독서▶/한시 문학

육의(六義)

눌재상주사랑 2009. 12. 15. 10:14

◈   六  (육)  , 여섯

 

 

    
    ■ 六義 (육의)

 

 

     六義 (육의)는 ?

 

    ①   풍(風)


    ②   부(賦)


    ③   비(比)


    ④   흥(興)


    ⑤   아(雅)


    ⑥   송(頌)

 

    한초(漢初)의 모형(毛亨) 작이라고 하는


    (사실은 後漢의 衛宏 작)


    모시(毛詩) 대서(大序)에서는


    시에는 육의(六義)가 있다"고 되어 있으며,


    작자(作者)의 정치 목적을 위주로 하여


    풍은 풍자,


    아는 바로잡음,


    송은 신에게 고함"이라고 해설하고 있다.

 

 

    이 육의(六義)는


    모시(毛詩)가 지니는


    경서(經書)로서의 권위와 더불어


    오래도록 작시상의 범주가 되었으나,


    부·


    비·


    흥의 해설이 없기 때문에 갖가지 상이한 해석을 낳았으며,

    특히 흥에 대하여 그러하다.

 


    오늘날의 학설에 의하면,


    풍(風:풍속가),


    아(雅:賀宴歌),


    송(頌:祭儀歌)은


    주로 용도에 따른 양식별이며,


    부와 흥은 고대에 특유한 시의 표현법상의 2대별이다.

 

 

    부는


    신의 말씀을 전하거나 신을 찬양할 때 직접적으로


    이를 서술하는 것으로,


    서사시로 전개된다.

 


    흥은


    신과 사람을 매개하는 사물을 빌려 기원·축계(祝몃)·


    불운을 말하는 데서 비롯된 것으로,


    그 서술이 상징적 의미를 가지고 통용되며,


    서정시가 이로부터 전개된다.

 


    비는


    흥에서 발전한 수사(修辭) 기교의 비유이다.

 

 

'◀문학 및 독서▶ > 한시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련설(愛蓮說)  (0) 2010.02.09
훈고학 [訓詁學]   (0) 2009.12.16
山中問答  (0) 2009.04.22
율곡선생전집 권지 十四-自警文 044_302c  (0) 2009.01.13
杜甫(두보)-가탄(可嘆)  (0) 2009.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