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최초 사찰 위치 단서 포착
경주공고서 6세기 와당 출토
진흥왕 5년(544)에 신라 최초로 창건된 불교사찰 흥륜사(興輪寺)는 그 정확한 위치를 둘러싼 논란이 있긴 하지만 경주시 사정동에 위치한 현재의 경주공고 일대라는 의견이 가장 많다.
이 자리가 바로 그 흥륜사가 있던 곳인지는 최종 확인되진 않았으나, 그럴 가능성을 강하게 뒷받침하는 고고학적 발굴성과가 나왔다.
국립경주박물관(관장 이영훈)은 경주공고가 교내 배수시설을 설치하려던 곳에 대한 수습 발굴조사를 통해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 대형 건물터가 있던 곳임을 확인했다고 13일 말했다.
비록 정식 발굴조사가 아니라 배수시설 공사를 위해 땅을 헤집어 놓은 상태에서 긴급 조사를 벌인 데 불과하지만 진흥왕 재위 시대(540-576년)인 6세기 중ㆍ후반 무렵에 제작됐을 것으로 추정되는 신라시대 와당을 몇 점 발견했다.
이 와당들은 연꽃 문양을 새긴 연화문(蓮花文) 수막새로 신라시대 기와로는 고식(古式)에 속하는 것이다.
나아가 이곳에서는 기둥 하부 구조인 적심 7개소에 건물 기단 석열, 기와를 깐 배수로 등을 갖춘 건물터가 함께 확인됐다.
적심은 지름 1.3m에 이르는 대형이며, 현재 경주공고 교정에 있는 대형 초석(礎石) 또한 이 부근에서 출토됐을 것으로 생각된다.
박물관 측은 "이런 성과는 경주공고 부지에는 신라시대 및 통일신라시대에 대형 건물이 있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면서 "출토유물로 볼 때 유적 중심 시기는 통일신라시대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고식 수막새는 흥륜사터를 논할 때 특히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2009.1.13>
'◀가족일지▶ > 가족행사및 사찰답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 상및 탑,부도, 당간지주등의 세부명칭 (0) | 2009.03.24 |
---|---|
사천왕사지 동탑지 녹유전은 법당 내부에 깐 벽돌 (0) | 2009.03.24 |
현존 최고 고려대장경판본 일 도서관에 소장 (0) | 2009.03.24 |
인도 네팔 불교 8대 성지를 찾아서‥허물어진 유적지에서 듣는 붓다의 가르 (0) | 2009.03.23 |
갑사로 가는 길 - 이 상보 (0) | 2009.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