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일지▶/가족행사및 사찰답사

불 상및 탑,부도, 당간지주등의 세부명칭

눌재상주사랑 2009. 3. 24. 08:38

불  상

 

부처가 갖추어야 할 신체상의 특징으로 크게는 <32가지>, 작게는 80가지가 있다. 즉, 부처는 중생들과는 다른 특수한 모습을 지녀야 하기 때문에 그 존엄성을 나타내는 구체적인 표시로 나오게 된 것이다. 원래 인도에서 귀인(貴人)들이 가지는 특이한 모습을 불교에 받아들였던 것으로 이 상(相)을 갖춘 사람은 세속에 있으면 전륜성왕(轉輪聖王), 출가하면 부처가 된다는 것이다

 


 
석  탑
 
부처의 사리를 안치하기 위하여 돌을 쌓아서 만든 탑으로 뒤에는 묘갈(墓碣)이란 뜻으로 사용되어 분탑(墳塔) 또는 묘탑(墓塔)이라고도 하였다
 
 
 
석   등
 
광명등(光明燈)이라고도 한다. 부처님의 지혜와 광명을 상징하며 불을 밝힌다는 것은 자비·해탈·재생의 의미로 부처님께 공양하는 의미도 있다. 석등은 대웅전이나 탑파와 같은 중요한 건축물 앞에 배치되어 가람배치와 더불어 조형적인 측면에서도 상당한 가치를 지닌다

 
 
비   석

 

비의 기원은 주대(周代)부터 유래한 목비(木碑)에서 찾는데, 석비의 시초는 옛날 중국에서 묘문(廟門) 안에 세워 제례(祭禮) 때 희생으로 바칠 동물을 매어 두던 돌 말뚝에서 비롯되었다


 

 

부  도

 

고승의 사리(私利)나 유골을 안치하는 묘탑으로, 부도(浮圖), 부두(浮頭), 불도(佛圖), 포도(浦圖)등이라고도 한다. 원래 불타(佛陀) 또는 솔도파[率堵波:탑]라는 음이 잘못 전해진 것으로 처음에는 불상이나 불교사원, 불탑을 의미했지만 뒤에는 고승(高僧)들의 사리를 담는 석조소탑을 가리키게 되었다

 


 
 
당간지주
 
당간(幢竿)은 당(幢)을 달아두는 장대로서, 당간지주는 이 당간을 지탱하기 위하여 세운 두 개의 지주(支柱)를 말한다. 대체적인 형태는 지주(支柱) 밑에 사각형의 대석(臺石)이 마련되고 지주 사이에 원형 간대(竿臺)를 놓아 지주를 고정시켰다.
 


(본 기사는 토함산 솔이파리님의 블로거에서 옮겨온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