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및 독서▶/시,수필 산책

갑사로 가는 길- 이 상보

눌재상주사랑 2018. 11. 6. 15:28

갑사로 가는 길- 이 상보


지금은 토요일 오후,동학사(東鶴寺)엔 함박눈이 소록소록 내리고 있다.

새로 단장한 콘크리트 사찰은 솜이불을 덮은채 잠들었는데,관광 버스도

끊인 지 오래다.등산복 차림으로 경내에 들어선 사람은 우리 넷뿐,허전

함 조차 느끼게 하는 것은 어인일인가?

대충 절 주변을 살펴보고 갑사(甲寺)로 가는 길에 오른다. 산 어귀부터

계단으로 된 오르막길은 산정에 이르기까지 변화가 없어 팍팍한 허리만

두들겼다.그러나 지난 가을에 성장을 벗은 뒤 여윈 몸매로 찬바람에 떨

었을 나뭇가지들이 보드라운 밍크코트를 입은 듯이 탐스러운 자태로 되살

아나서 내 마음을 다사롭게 감싼다.

흙이나 돌이 모두 눈에 덮인 산길을 도란도란 이야기를 나누며 오르는

우리들은 마치 북국의 설산이라도 찾아간 듯 한 아취에 흠씬 젖는다.

원근을 분간할 수 없이 흐릿한 설경을 뒤돌아보며,정상에 거의 이른 곳에

한일자로 세워 놓은 계명정사(鷄銘精寺)가 있어 배낭을 풀고 숨을 돌린

다.뜰 좌편 가에서는 남매탑(男妹塔)이 눈을 맞으며 먼 옛날을 이야기해

준다.



때는 거금 천사백여 년 전 신라 선덕여왕 원년인데, 당승(唐僧)상원대사

(上元大師)가 이곳에 와서 움막을 치고 기거하며 수도할 때였다.

비가 쏟아지고 뇌성벽력이 천지를 요동하는 어느 날 밤에 큰 범 한마리

가 움집 앞에 나타나서 아가리를 벌렸다.대사는 죽음을 각오하고 눈을 감

은 채 염불에만 전심하는데 범은 가까이 다가오며 신음하는 것이엇다.대

사가 눈을 뜨고 목 안을 보니 인골(人骨)이 목에 걸려 있었으므로 뽑아주

자 범은 어디론지 사라졌다.

그리고 여러 날이 지난 뒤, 백설이 분분하여 사방을 분간할 수조차 없는

데,전날의 범이 한 처녀를 물어다 놓고 가 버렸다. 대사는 정성을 다하

여 기절한 처녀를 회생시키니 바로 경상도 상주읍에 사는 김화공(金化公)

의 따님이었다. 집으로 되돌려 보내고자 하였으나 한 겨울이라 적설을 헤

치고 나갈 길이 없어 이듬해 봄까지 기다렸다가 그 처자의 집으로 데리고

가서 전후사를 갖추어 말하고 스님은 되돌아 오려고 하였다.

그러나 이미 김 처녀는 대사의 불심에 감화를 받은 바요, 한없이 청정

한 도덕과 온후하고 준수한 성품에 연모의 정까지 골수에 박혔는지라,그

래로 떠나보낼 수 없다 하여 부부의 예를 갖추어 달라고 애원하지 않는가?

김화공도 또한 호환에서 딸을 구원해 준 상원 스님이 생명의 은인이므로

, 그 은덕에 보답할 길이 없음을 안타까와하며 자꾸 만류하는것이었다.


여러 날과 밤을 의논한 끝에 처녀는 대사와 의남매(義男妹)의 인연을 맺

어, 함께 계룡산으로 돌아와 김화공의 정재(淨財)로 청량사(淸凉寺)를 새

로 짓고 암자를 따로 마련하여 평생토록 남매의 정으로 지내며 불도에 힘

쓰다가 함께 서방 정토로 떠났다.

두 사람이 입적한 뒤에 사리탑(舍利塔)으로 세운 것이 이 남매탑이요,상

주에도 또한 이와 똑같은 탑이 세워졌다고 한다.



눈은 그칠줄 모르고, 지순한 사랑도 끝이 없어 탑신(塔身)에 손을 얹으

니 천년 뒤에 오히려 뜨거운 열기가 스며드는구나!

얼음장같이 차야 햇던 대덕(大德)의 부동심(不動心)과 백설인 양 순결

한 처자의 발원력(發願力),그리고 비록 금수라 할지라도 결초심(結草心)

을 잃지 않는 산중 호걸의 기연(奇緣)이 한데 조화를 이루어 지나는 등

산객의 심금을 붙잡으니, 나도 여기 며칠 동안이라도 머무르고 싶다.

하나 날은 시나브로 어두워지려 하고 땀도 가신 지 오래여서, 다시 산허

리를 타고 갑사로 내려가는 길에 눈은 한결 같이 내리고 있다.


새로고침꾸미기

         

'◀문학 및 독서▶ > 시,수필 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도  (3) 2019.10.03
송사리처럼..갈겨니처럼..  (0) 2013.12.20
그리움  (0) 2012.01.20
나목(裸木)  (0) 2010.03.04
병문안  (0) 2010.01.25